Building future
worth through data
데이터를 통해 미래 가치를 만듭니다.
worth through data
전체 게시글 127건
-
반려동물용 외부기생충 구충제 ‘피프닐 스팟온’ 출시대한뉴팜㈜(054670) 아일랜드 제약회사인 Chanelle Pharma Group과 2018년 체결한 반려동물사업에 대한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내·외부 구충제의 License-in을 추진해왔으며, 그 결과로 2020년 1월에 동물용의약품으로 허가받은 '피프로닐(Fipronil)'성분의 ‘피프닐 스팟온‘을 출시했다.‘피프로닐’은 페닐피라졸게열 성분으로 반려동물에 직접 발라주면 벼룩, 진드기와 같은 외부기생충의 신경계의 GABA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염소매개 이온채널에 길항작용을 하여 과분극 시켜 사멸하는 살충제 성분이다.‘피프로닐’을 반려동물의 견갑골(양어깨사이)의 털을 제끼고 피부에 한두 군데 도포하면, 피부의 지방층이 풍부한 부위를 따라 24시간에 전신으로 확대되어, 피부 밑에 있는 피지선(sebaceous gland)과 모낭(hair folicle)에 농축 저장되어 한 달 이상 피부와 털을 통해 분비되는 독특한 작용기전을 갖는다. Chanelle Parma Group은 이러한 ‘피프로닐’의 작용기전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한 ‘피프닐 스팟온’은 EU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 시험한 Original 제품과의 생동성시험 및 구충효과 비교를 통해 제품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한국 펫사료협회가 발표한 ‘반려동물 보유 현황 및 국민 의식 조사 보고서(2017)’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1,956만 가구 중 563만(28.8%)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반려견 수는 약 660만 마리이며, 반려묘 수는 약 207만 마리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보유 가구는 지난 5년간 약 57%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에도 핵가족화와 1인 가구, 고령화 증가와 소득 수준 향상 등으로 반려동물의 수 및 관련 시장규모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과 동시에,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매개곤충류의 증식 증가, 반려동물들이 야생동물과 및 매개곤충류 접촉이 다양해지고 빈도가 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그렇기에, 반려동물의 건강과 더불어 보호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예방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국내 반려동물용 내·외부 구충제의 시장 규모는 200억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 대한뉴팜 동물의약품 사업부장은 “Chanelle Pharma Group의 기술력으로 개발된 제품을 전략적제휴를 통해 국내에 보다 경쟁력이 있는 ‘피프닐 스팟온’ 공급함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반려동물용 내·외부 구충제 시장에 한 주축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2020.02.05 -
'바이타디주ⓡ', 2019 한국약제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제제기술상 수상대한뉴팜㈜ '바이타디주ⓡ',2019 한국약제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제제기술상 수상 비타민D 주사제인 '바이타디주ⓡ'가 안정성을 인정받아 2019한국약제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제제기술상을 수상했다. 제제기술상의 수상내용은 비타민D 주사제의 유연물질 생성 억제기술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보관조건을 1~25℃에서 1~30℃로 허가를 변경하여 유통 및 보관의 편의성 증가에 따른 것이다. 현재 비타민D주로 1~30℃의 보관 조건으로 생산되는 것은 대한뉴팜이 유일하다. 비타민D인 칼시페롤(calciferol)은 D2(ergocalciferol)와 D3(cholecalciferol)로 분류된다. D2는 스테롤(sterol)인 에르고스테롤(erogosterol)로부터 만들어 지며, D3는 7-디히드로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과 햇빛을 피부에 쬐면 만들어 진다. 또한 비타민D는 칼슘 흡수 촉진효과로 골다공증 치료제의 일부 구성성분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비타민D가 부족하면 비만, 당뇨병, 심장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D의 중요성은 점점 증대되고 있으나 야외활동이 줄고, 자외선 차단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현대인에게는 비타민D가 부족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비타민D 주사제를 필요로 하는 결핍환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비타민D3는 쉽게 산화되어 유연물질을 생성하는 불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그동안 주사제 개발이 어려웠다. 당사는 비타민D의 안정화 기술을 확보하여 trans-cholecalciferol의 유연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비타민D주의 관련 특허 2건의 등록을 완료했으며 비타민D주의 유연물질 생성이 거의 없는 안정성을 기반으로 제제의 보관 조건을 1~25℃에서 1~30℃로 허가를 변경하여 대한뉴팜의 비타민D 주사인 바이타디주ⓡ 의 보관 및 유통의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비타민D 주사제의 국내 시장규모는 생산, 수입 실적 기준으로 2017년 123억원, 2018년 132억원으로 시장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한뉴팜은 바이타디주ⓡ 로 10만IU, 20만IU, 30만IU 3개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2019.11.27 -
3Q 누적 매출액 989억 원 달성…전년比 10% 상승2019년 3분기 누적 매출액 98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전사적으로 원가절감 및 효율적, 체계적 비용관리 등의 효과에 힘입어 전년 동분기 대비 약 9% 증가한 161억 원의 영업이익(영업이익율 16.3%)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순이익율 9.9%) 역시 98억 원으로 대폭 상승했다. 대한뉴팜은 제약사업, 동물용의약품사업, 해외사업, 바이오사업 4가지로 구분되며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제약사업이다. 제약사업부는 다시 급여 품목, 비급여 품목, 비만 및 웰빙 주사제 품목 구분되며 올해는 급여 신제품으로 매출성장을 견인했다. 관절 통증에 사용하는 히아름 주사제, 만성동맥폐색증에 효과가 있는 뉴포그릴 SR, 위점막보호제 엔피렌 에스 3 품목으로 약 20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지방분해, 수면질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파인에스를 발매하여 2020년 성장기반을 마련했다. 2018년 하반기에 발매한 면역증강제 티모신, 우울증에 허가를 가지고 있는 기능의학 주사제 사메주를 기반으로 웰빙 주사제 분야의 확장도 꾀하고 있다. 동물용의약품사업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과 축산 경기 위축으로 국내 동물약품시장은 전년대비 약 4%이상의 매출 감소 악재 속에서도,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준비해온 기능화되고 차별화된 신제품 개발을 통해 양돈용 성장촉진제의 대형 품목화 육성, 글루타치온 주사제의 산업동물 스트레스 완화제 개량신약, 한우용 소화 촉진 중조 미네랄블록 등의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통해 고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 제품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준비해 온 신제품을 2020년 상반기부터 연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차별화된 신제품 제제 연구와 유럽산 완제품 라이센스인(License-In)을 추진하고 있다. 해외사업부는 지난 6월 필리핀 마닐라 필뷰티페어, 10월 인도네시아 필뷰티페어 전시회에 참가하여 대한뉴팜 웰빙의약품 및 미용관련 제품의 적극 홍보 및 마케팅으로 2020년 매출 신장을 기대하고 있다. 동남아에서의 성공적인 전시회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신규 시장인 중남미 지역에도 전시회 및 단독부스를 마련하여 제품의 우수성을 적극 홍보 예정이다.2019.11.12 -
상반기 매출액 668억/영업이익 108억 달성2019년 상반기 매출액 668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동기 대비 8.6% 상승했다. 영업이익은 14.5% 오른 108억 원을 기록했으며, 당기순이익은 66억 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전사적 영업효율성을 제고하고 신제품 출시로 인한 매출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실적이 좋아졌으며 기존 주요매출품목 역시 꾸준히 판매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주력사업인 비만, 웰빙 의약품 분야도 꾸준히 이익이 창출되고 있어 하반기 매출도 호조가 예상된다. 지속적인 실적 극대화를 위해 비전있는 경영 전략 제시, 신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재무구조 개선작업을 지속적으로 시행했고 신제품이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실적이 좋아질 수 있었으며 하반기에도 경영효율화를 유지하고,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좋은 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2019.08.12 -
특이적 섬유아세포 분리 특허 출원…피부개선치료제 개발 가속화혼재성 섬유아세포(heterogenetic fibroblast)를 피부 재생효과가 뛰어난 특이적 섬유아세포만을 분리, 배양하는 방법을 특허 등록했다. 기존 연구 및 제품의 경우, 귀 뒤 진피 조직에서 섬유아세포를 1차적으로 분리하여 증식 배양하고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 함몰, 주름, 난치성 피부염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섬유아세포 치료제는 혼재성 섬유아세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기존의 치료법 및 미용 필러 대비 그 효능이 떨어진다. 본 특허 방법을 통해 진피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여 증식력이 뛰어나고, 피부노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두진피섬유아세포를 분리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이를 세포치료제에 적용할 경우 기존 세포치료제 대비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유두진피섬유아세포 고순도 분리 방법’은 트랜스 웰을 사용하여 혼재성 섬유아세포에서 활성도가 뛰어난 유두진피 섬유아세포를 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방법으로 분리한 세포군은 기존의 섬유아세포 대비 피부 재생 능력이 뛰어난 유두진피섬유아세포 인자가 약 7배 증가하였으며, 우수한 증식력을 가졌다. 또한 반복 횟수에 비례하여 유두진피섬유아세포 인자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유지 및 배양 역시 확인됐다. 특이적 섬유아세포의 분리정제기술을 통해 본격적으로 세포치료제 시장에 진입하게 됐다. 프로스트&설리반(Frost&Sullivan)에 따르면, 글로벌 세포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9.4%의 성장세를 보여 오는 2021년 3,4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장 역시 매년 25%씩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바이오연구소를 오송 KBIO로 이전하고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있다. 섬유아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고효율의 세포 배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파트너사인 일본 CSTI사의 무혈청 배지를 세포치료제에 적용하고 있다.2019.05.28 -
구제역 백신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 촉진용 신약 출시구제역 백신 스트레스 완화 및 면역 촉진용 신약 출시 의약품으로 허가 받은 강력한 항산화 기능, 해독 및 면역 촉진 작용이 있는 글루타치온(GSH, Glutathione sulfhydryl)제인‘DH루치온 주’를 출시했다. 글루타치온은 동물 체내 세포, 특히 간에서 생성되는 Cysteine, Glutamic acid와 Glycine의 3가지 아미노산이 결합된 트리펩다이드로 이루어진 작은 단백질로 주요 기능으로는 1.항산화기능 2.해독작용 3.면역력 증가 4. 항염증 작용이다. 특히,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C, E와 같은 다른 항산화제들도 글루타치온에 의존하여, 글루타치온 가장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산업동물에서 글루타치온의 이러한 주요 기능은 다양한 스트레스, 잦은 약품에 항시 노출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예방하여 생산성을 증가 시킬 수 있어, 오랫동안 산업동물에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동물용의약품 등으로 허가, 사용되고 있는 글루타치온 제품은 대부분 경구용 제품으로 경구투여시 흡수율이 떨어져 생체이용율이 매우 낮은 글루타치온의 특성상, 경구용 제품효과의 한계가 분명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구제역 백신과 같은 백신 접종시에 동시 적용하여 최대한의 스트레스 완화, 염증 저하 및 면역력 증가에 효과적인 제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글루타치온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자사 대표 인체용의약품 중 하나인 ‘루치온 주사’ 제조의 동일 제법, 고품질의 동일 원료(Kyowa Hakko Bio Co., Ltd)를 사용하여, 동물용의약품 최초의 글루타치온 동결주사제인 ‘DH 루치온’을 개발하였다. 경상대학교 수의대학에서 진행한 'DH 루치온‘의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제역 백신 접종 후 스트레스 및 염증 관련 지표(Cortisol, TNF-α, CRP)확인 결과 스트레스 및 염증 완화에 효과를 확인 하였다. 2. 세포성 면역지표(IFN-γ), 체액성 면역지표(IgG, IgM, IgA)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면역력 증가에 뛰어난 효과를 확인하였다. 3. 간 기능 관련 지표(AST, ALT, Bilirubi)은 낮았으며, Albumin은 높아 간 기능 개선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DH 루치온’개발 시 기대했던 우수한 효과들이 검증되었기에, 산업동물의 생산성 증진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2019.03.20 -
안면 실 리프팅 시장 본격 진출…‘TASS-UP’ 발매대한뉴팜, 안면 실 리프팅 시장 본격 진출…‘TASS-UP’ 발매 압착 코그실인 ‘TASS-UP’을 시장에 런칭했다. 2018년 8월, 지쉘그룹(대표 김종우)과 프리미엄 안면 실 리프팅인 ‘TESSLIFTSOFT’로 독점 판매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시장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착 코그실인 TASS-UP을 발매하면서 안면 실 리프팅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게 됐다. 동안 얼굴을 유지하는데 가장 대중적인 시술 방법 중에 하나인 안면 실 리프팅은 최근 유지기간이 짧은 보톡스나, 부작용 부담이 높은 필러보다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런칭한 TESSLIFT는 3D 메쉬 구조로 자연스럽게 리프팅 및 볼륨업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실에 비해 비교적 오랜 기간 유지되어 젊은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얼굴이 다소 쳐져 있고, 팔자 주름이 깊은 환자들에게는 강한 리프팅 효과가 필요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런 환자들에게는 압착 코그실과 콤비네이션 시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TASS-UP은 기존 슬라이스 컷팅 보다 두꺼워진 코그로 오랜 기간 유지되며 강력한 리프팅 효과가 발휘되어, 다양한 환자에게 안면 실 리프팅을 시술할 수 있다. 비가열식 가공법으로 제작하여 열로 인한 실 성분의 별성이 거의 없어서, 장기간 보관으로 인해 실이 쉽게 끊어지는 단점을 보완했다. 양방향 코그와 달리 일정한 각도로 틀어진 입체적 코그로 리프팅 효과도 강화했다. ISAPS(International Study on Aesthetic/Cosmetic Procedures)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페이스리프팅 시장은 2016년 약 100억 원에서 2020년에는 약 350억 원으로 급격하게 증가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실 리프팅은 상대적으로 시술이 쉽고 부작용이 적어 임상의들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피어나클리닉의 최호성 원장은 “새로 출시된 TASS-UP으로 강력한 리프팅 효과를 내고, 자연스럽고 견고하며 지속력이 강한 TESSLIFTSOFT를 적절히 병용하여 사용하면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원진피부과클리닉의 이상봉 원장은 “TASS-UP과 TESSLIFTSOFT는 시너지 효과를 낼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실이 가진 아쉬운 점을 보완해줘서 효력과 비용 효율성을 모두 기대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DHNP는 비만 및 미용 제품을 연구개발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안면 실 리프팅을 안정적으로 런칭시킨데 이어 다양한 의료 장비 등을 도입하여 안면 미용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방침이다.2019.03.05 -
3분기 누적 영업이익 148억 원 달성…전년比 44.5% 증가3분기 누적 영업이익 148억 원 달성…전년比 44.5% 증가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약 44.5% 증가한 148억원을 1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매출은 약 9% 하락한 902억 원이며,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수익성이 높은 제품의 매출 확대와 효율적인 경영시스템을 확립한 것이 큰 효과를 봤다. 올해 제품 포트폴리오, 유통구조 개선, 비용 효율화 등을 적극 추진하며 내실을 다지고 있으며 창출된 수익은 연구개발에 투자하여 미래성장동력을 개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다. 수익성 강화를 위한 경영시스템 운영으로 실적이 향상될 수 있었다.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전략 신제품인 ‘사메주’, ‘티모신주’, ‘TESSLIFTSOFT’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실적 향상을 위해 노력 중이다. 우울증 치료제로 허가받은 ‘사메주’는 항암보조제, 간기능 개선, 통증치료에도 탁월한 효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데, 매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루치온주’ (일명 ‘백옥주사’)의 명성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메쉬구조의 프리미엄 녹는 실 ‘TESSLIFTSOFT’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차별화된 제품력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매출 다각화 및 수익구조 개선을 통해 2013년 567억 원 수준이던 매출은 지난해 1,308억 원까지 올랐고, 영업이익 역시 60억 원에서 131억 원까지 상승했다.2018.11.14 -
영업이익 크게 증가. 하반기에는 신제품 매출 기대(반기 공시)상반기 영업이익 94억 원 달성… 전년 동기比 44% 증가 2018년 연결기준 상반기 영업이익 94억 6,000만 원을 달성하며 전년동기 대비 44%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액은 소폭 감소한 614억 6,900만 원이며, 당기순이익은 기타비용 증가로 인해 38억 8,100만 원 손실이 발생했다. 최근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비급여 주사제인 ‘사메주’가 론칭됐으며, 항암보조제 ‘티모신주’도 출시할 예정이다. 지난 7월에는 차세대 프리미엄 녹는 실 ‘TESLIFTSOFT'의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기록적 폭염으로 인해 가축 스트레스 완화제 ‘파워가바-C’의 수요도 급증했다. 파워가바-C는 사용이 편리하고 스트레스, 탈수, 번식 장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입증됐고, 이미 수요가 생산계획을 뛰어넘었다. 점진적인 재무구조 개선작업 및 비용의 효율화를 통해 꾸준하게 내실을 다지는 노력이 좋은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하반기에는 새로 출시한 비급여 주사제 ‘사메주’와 향후 출시할 항암보조제 ‘티모신주’가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해 적극적인 세미나와 온/오프라인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2018.08.14


Home